카테고리 없음

2진법과 QR코드

대전문정중학교 동아리 2021. 5. 28. 18:00

「2진법」

 

※2진법이란

2진법(二進法)은 0과 1이라는 두 개의 숫자만을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진법을 말한다. 관습적으로 0과 1의 기호를 쓰며 이들로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고 한다. 2진법으로 수를 표시할 때에는 0과 1 즉, 두 가지 숫자(또는 부호)만 사용한다. 한자리의 수가 0으로부터 0,1로 증가하여 2가 될 때마다 자리 올림을 하여 표시한다.

 

※이진법의 표현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다. 32이라는 숫자가 있다. 이는 우리가 실생활에서 주로 쓰는 10진법으로 나타낸 수이다. 이 수를 2진법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2로 나누어보도록 하겠다.

 

34÷2=17…0

17÷2=8…1

8÷2=4…0

4÷2=20

2÷2=10

 

이를 통해 31⑽=010010⑵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식으로 10진법으로 나타나진 숫자를 2진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2진법과 10진법의 관계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https://ko.calcuworld.com/%ec%88%98%ed%95%99/2%ec%a7%84%eb%b2%95-%ea%b3%84%ec%82%b0%ea%b8%b0/?iframe=1

 

2진법 계산기 - 계산기

 

ko.calcuworld.com

 

 

※2진법의 활용

이진법은 현재 실생활에서 컴퓨터나 휴대폰 등 데이터를 활용하는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QR코드」

 

※QR코드란

QR코드는 'Quick Response'의 약자로 빠른 응답이라는 뜻을 가졌으며 바코드가 진화하여 탄생한 2차원의 바코드이다.

 

※ QR코드의 구조

QR코드는 정사각형 안 흑백 격자 선 위로 다양한 무늬가 입혀진 것이다. QR코드는 위치 찾기 패턴과 얼라인먼트 패턴, 셀 패턴으로 구성된다.

위치 찾기 패턴은 모든 QR코드의 세 모서리에 크게 자리 잡고 있는 사각형이다. 이것은 QR코드를 인식기가 360도 어느 방향에서 감지하더라도 QR코드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 빠른 정보 탐색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일종의 나침반 기능을 한다. 얼라인먼트 패턴은 QR코드에 얼룩이 묻거나 또는 일그러지거나 파손된 경우에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셀 패턴은 흑백 점과 흰색 여백을 통해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이다.

 

※ QR코드의 장점

1) 많은 정보 저장 가능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 정보만 저장할 수 있는 반면 QR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 최대 4296자, 이진(8비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다.

 

2) 작은 공간에 인쇄

qr코드는 가로, 세로 양방향으로 정보를 표현함으로써 바코드와 동일한 정보량을 1/10 정도의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3) 어느 방향에서도 인식 가능

qr코드는 360 어느 방향에서도 고속 인식이 가능하다. qr코드 안에 3개의 위치 찾기 심볼 덕분에 배경 모양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고속 인식이 가능하다.

 

4) 오염, 손상에 강하다.

qr코드는 오류 복원 기능을 통하여 토드 일무가 더러워디거나 손상되어도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qr코드의 복원력 덕분에 바코드의 일정 부분을 디자인 용도로 훼손시키더라도 바코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바코드에서 벗어나 고객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바코드를 만들 수 있다.

 

※QR코드의 단점

QR코드를 합성한 큐싱(QR Code+Fishing)이라는 용어가 있을 정도로 악성코드나 유해 웹사이트 주소를 담아 유포하는 등 악용한 사례들도 많이 있다. 그래서 검증된 기관이나 기업이 아닌 곳에서 제공하는 QR코드 경우는 사전에 확인하고 신중하게 접속해야 한다.

 

※QR코드의 쓰임

QR코드는 주로 간편결제 수단을 이용할 때 QR코드를 스캔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식품의 이력 관리와 정품 인증, 음악과 영상을 스마트폰에서 즐길 수 있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